| 
                
                 
    (음악)
  두꺼비의 일요방문.
  (음악)
  휴일을 즐기시는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매주 이 시간에는 만화가 안의섭 씨가 우리들이 알고 싶어하는 가정, 
  궁금한 여러분의 가정을 소개해드리고 있습니다. 
  (음악)
  - 두꺼비 안의섭입니다. 오늘 일요방문은 이, 저, 젊은 할아버지, 저, 이, 구민 씨 댁에 와있습니다. 
  이, 왕십리, 왕십리 무슨 동넵니까? 
  - 저, 탄현동이라고도 하는데요.  
  - 지금 안방에 와 앉아 있습니다. 구민 씨, 그리고 부인 되시는, 부인 성함이...?
  - 최성순입니다. 
  - 아, 네. 최 여사. 그리고 이, 따님. 요것뿐입니까? 가족은 어떻게 됩니까?
  - 아니, 지금 꼬마가 나갔는데요. 
  - 아아아아... 고건 남자애?
  - 네, 남자죠. 
  - 네. 1남 1녀...
  - 1남 1녀...
  - 그렇게 되죠? 
  - 1녀1남이 되겠구만요. 오늘 이제 제가 왔다간 다음에는 뭘 이제 어디...
  (아이들 목소리)
  - 글쎄, 오늘은 에... 별반 스케줄은 없습니다마는 어떻게 꼬마를 데리고 창경원이나 가볼까...
  - 네. 
  - 계획입니다. 
  - 어... 꼬마만 데리구요?! 
  - 어허허허허허.
  - 아하하하하하. 
  - 아하하하하하, 글쎄요. 우선 바쁘신 시간에 안 선생님이 직접 집으로 이렇게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아이 목소리)
  - 이게 뭐냐고?
  - 코끼리? 아... 이름이 뭐지? 
  - 자연이.
  - 구자연? 아... 엄마하고 비슷하구만. 아주 생긴 게. 
  (사람들의 웃음소리)
  - 눈은 아빠 닮았구만.
  - 눈만 절 닮은 것 같애요. 
  (사람들의 웃음소리)
  - 요전에 뭔가 잡지사에서 구 선생님하고 좌담회 할 적에-.
  - 네. 
  - 제가 듣기에는 대학에 나가신다고 들었는데-.
  - 네. 지금 현재 수도여자사범대학에 나가고 있습니다. 
  - 아, 그 학교가 저기, 뚝섬, 광나루 가는데 어디 있는 것 같은데-.
  - 네, 군자동 산2번지예요. 
  - 아, 글로-.
  - 네. 
  - 아, 네. 근데 요즘 이, 왕십리도 퍽 인제 냄새가 좋아졌습니다. 
  (사람들의 웃음소리)
  - 아, 글쎄요 .저는 이사 온 지 한 2년 됐기 때문에 잘...
  - 적응이 되셔서 잘 모르시겠지만.  
  - 네. 잘 모르겠습니다. 
  - 저는 아침에 올 때 이렇게 보니깐 옛날에 비해서 퍽 냄새가 좋아진 걸 느끼겠어요. 
  - 전 그래서 그런지 여기가 제일 좋은 것 같습니다. 아하하하하하.
  - 학교에서 맡고 계시는 건...
  - 네, 가정과의 요리를 맡고 있습니다. 
  - 아, 그러세요? 
  - 네. 
  - 네... 그러면 오늘 아침 제가 집에서 밥을 먹지 말고서 나올걸... 아하하하하.
  - 굶고 오실 걸 그랬습니다. 아하하하하. 하하하하.
  - 아, 그래서 이, 저, 이, 구 선생님이 이, 저, 원기왕성하신 건 다 그런 데서 연유하셨군요. 
  - 맞아요. 영양공급이 잘돼서 그런지 결혼 이후에 키가 더 커진 것 같애요. 아하하하.
  - 아... 주로 이 콩나물로 하는 요리를 주로 많이 하시는 모양이구만요. 키가 커진 걸 보니까. 
  (사람들의 웃음소리)
  - 에... 요 방이 인제 에, 두 분이 쓰시는 방이고, 대청마루, 이, 한국 옥... 한국양식의 집으로선 높죠? 
  천장이 아주 높은 편인데요? 
  - 예. 조금 높은 편이라고...
  - 아, 네. 
  - 아빠 거야? 
  - 응, 놔둬.
  - 이, 아주 온 방 안에 지금 튤립이 아주 그냥 만발하고 있습니다. 저게 튤립이죠? 
  - 아니, 그라지아라서. 
  - 아, 꽃 이름을 잘 몰라서요. 
  (사람들의 웃음소리)
  - 아시면서 괜히 한 번 테스트해보신 거겠죠? 아하하하하.
  - 오늘 제가 이 좀 이, 부인 되시는 최 여사의 말씀을 좀, 얘기를 좀 많이 나눠볼까 하는데요. 
  - 네네. 좋습니다. 
  - 선생님, 용서해주시죠. 
  - 아하하하. 별말씀을 다 하십니다. 
  - 결혼하신 지가 얼마나? 
  - 지금 6년째 들어갑니다. 
  - 아, 네. 6년째.
  - 네. 
  - 결혼하시기 전에는, 요 전에 구 선생님이 좌담회에서 말씀하신 거는 이, 저, 최 여사께서 자꾸 이렇게 
  프러포즈를 해서 마지못해서 했다고 그렇게...
  - 아하하하하하. 
  - 그런 내용으로 말하시더군요. 근데...
  - 네. 
  - 그게 사실입니까? 
  - 아마 서로가 다 그랬을 겁니다. 아하하하하. 
  - 아... 음. 
  - 맨 처음에 이곳...
  - 누님이 저희 학교에 계셨어요. 그래서...
  - 어느 학교? 
  - 예, 수도여자사범대학에... 제가... 
  - 거기 오래 계셨네요. 
  - 네, 졸업 맞고서 그 다음에서부터 쭉 있었습니다. 
  - 네...
  - 한 8년 됐나? 
  - 네, 조교로 있던 핸데 거기 저, 누님이 계셨어요.
  - 네.
  - 그 누님께서 처음에 소개를 해가지고 알게 됐죠. 
  - 아... ? 네네! 그러니까 생각이 나네요. 최 생각이 이제 납니다. 그, 저, 이 강원도, 강원여객관계...
  - 네네. 
  - 그 위에 분을 제가 잘 압니다. 
  - 최 사장님, 저희 저, 수도여자사범대학교 학장님의, 그러니깐 저, 처남 되시는 분이...
  - 처남인가요? 
  - 네. 
  - 지금 저, 부학장님의 남동생이죠. 
  - 그렇게 되죠? 네네. 그럼 압니다. 아, 그렇구만요. 그럼 그 후 학교에 계속해서 계신 게 그, 저, 납입금을 못 내서 그냥 그대로...
  - 아하하하하하. 에, 그렇지가 않구요. 저희가 저, 수도여자사범대학교가 창립된 후로는 1회 졸업생이에요. 
  - 네, 아...
  - 그래서 그 당시 졸업생 중에서 연구생이라고 그래가지고서는 한 열 명이 있었어요. 남아서요. 그래서 인제 각자 분야 전공하면서 
  조교형식으로 해서 있었어요. 그 당시에 인제 알게 된 거죠. 
  - 아... 아니, 그러니까 다시 말하면 그럼 그 당시 어떻게 알게 되셨습니까? 
  - 아하하하. 이제 누님의 소개로 인사하구요. 
  - 네. 
  - 그래서 인제 알게 돼가지고 교제를 시작했어요. 
  - 꽤 많이 간 걸로 전 기억을 하고 있는데. 아하하하하.
  - 아주 그냥 평범히 하셨구만. 
  - 그렇죠. 평범하죠. 뭐. 아하하하하.
  - 그러면 인사를 하실 적에 곧 혼담을 들어간 건 아니겠고...
  - 네. 그렇지 않습니다. 
  - 어떻게, 저, 이, 구민 씩 댁에서 먼저... 음음, 어떻게 됐습니까? 
  - 아하하하하. 예, 그러니깐 그러고서 인제 여러 번 같이 만났어요.  
  - 네. 
  - 그래가지고 인제 저쪽에서 먼저 결혼 얘기를 해가지고요. 
  - 저쪽에서요? 
  - 네. 
  - 저쪽 얘기하고 좀 다르신데요? 
  (사람들의 웃음소리)
  - 네네? 
  - 으레 그렇지 않을까요? 물어보면?
  (사람들의 웃음소리)
  - 그래도 저희 가정과 과장님이 저희 집으로 찾아와서 부모님께 말씀 드려서요. 
  결국 부모님께서 허락을 해주셔서 결혼이 성립된 거죠. 
  - 아, 아주 뭐...
  - 저희들 자유만 아니고 부모님들께 승낙을 받은 겁니다. 
  - 네, 아주 기복은 없었구만요. 
  - 아하하하하하하.
  - 평탄히 그냥. 아하하하하. 네. 아까 이 대문을 들어오면서 보니까 전 구민이라고 써 있을 줄 알고, 문패가
  써 있을 줄 알고 두리번두리번 찾았는데 뭐, 구, 구교문 이렇게-.
  - 네. 
  - 거울 교 자에다가 글월 문...
  - 네, 글월 문입니다. 
  - 그렇게 돼있는데, 그, 원-.
  - 본명이죠. 호적상에 있는... 
  - 아, 네. 어떻게 민 자를 쓰시게 됐어요? 
  - 그것이 구민이라고 된 것은 에... 먼저 무용을 좀 했어요. 그래 지금 현재 무용계에서 활약하고 계신 손범 씨가 학교 시절이었었고 
  또 본명을 내는 것이 좀 어색하지 않냐 해가지고 즉흥적으로 그냥 그 자리에서, 포스터를 낼 텐데 민이가 어떨까 하다가 
  그냥 지은 것이 그대로...
  - 네, 아무렇게나 지은 거군요. 
  - 네, 아무렇거니 지은 것이 이게 현재까지 내려오고 있습니다. 
  - 아, 그 아무렇거니가 좋긴 좋았나 보죠. 
  - 아하하하하. 
  - 네. 그래서 솔직히 다른 집을 찾아왔나 했는데 저 꼬마 문 앞에 서있어서 물어봤더니 아버지가 구민이라고 
  너희 아버지가 이, 구교문이 아니라니깐 그런 사람 없다고 그러더라구요. 
  - 오오오오, 하하하하하!
  - 구 선생님, 저, 이, 부인님은 좀 이렇게 직장에 나가실 적에 대문까지 나가십니까? 
  - 아니오. 안 선생님께서는 혹시 그런 경우에 나가시는지요? 어허허허허.  그럴 때 나가시는지 반문을 하고 
  싶습니다. 
  (사람들의 웃음소리)
  - 나가지 않는 것이 아마 현재...
  - 아, 그러면 방 안에서 뭐라고 인사를 할까요? 뭐라고 말하면서-.
  - ‘반찬값 주고 갔어??? 이 정도로...
  - 아, 네. 반찬값 주고 갔냐... 바깥양반이 먼저 출타를 하실 경우에는 어떤 인사를 먼저 하십니까? 
  - ‘일찍 들어오세요??하는 게 인사죠. 
  - ‘일찍 들어오세요?? 하시는군요. 
  - 네.
  - 아, 네... 음, 그땐 물론 대문까지 나가시겠죠? 
  - 네, 저는 꼭 나갑니다. 
  - 저녁에는 어느 쪽이 먼저 오시는지...?
  - 제가 먼저 들어옵니다. 
  - 언제든지? 네... 늦게 들어오실 때는...? 
  - 제가 집에 오는 시간은 6시 전에는 늘 들어옵니다. 
  - 아, 예. 구 선생님보담도 늦게 들어오는 적도 있으시겠구만요. 
  - 네. 
  - 그때는 반드시 제가 전화연락을 하고 늦게 들어갑니다. 
  - 아, 네. 뭐, 참 모범적인... 부인은 공부가십니다. 
  (사람들의 웃음소리)
  - 공부가? 말로만 그렇게 하는 게 아닐까요? 아하하하하하하. 
  - 예. 할아버지 역할을 많이 하시고 어떻습니까? 최 여사가 들어오실 적에는...
  - 어떤 때는 잘 알아듣지 못하구요. 누군가? 하다가 나중에 이름을 들으면 아, 그랬구나 할 때도 있구요. 
  - 아, 그 정도 그래요? 
  - 어떤 때는 잘 알아보구요. 
  - 네네. 
  - 네, 아직도 몰라볼 때가 있어요. 
  - 제가 지금 말씀드린 거는 알아보냐 못 알아보냐 그것이 아니고.
  - 네. 
  - 못 알아본대면 그 정도로, 자기 하나밖에 없는 부인도 못 알아볼 정도로 가성을 바꿀 수 있다-.
  - 아하하하하하. 
  - 그 정도로 지금 귀신이 돼있습니다. 
  - 집에서 음성하고 방송의 음성이 다르니까 그렇겠죠. 네.
  - 다르죠, 네. 할아버지 역할로 이렇게 많이 나오실 적에 좋으십니까?
  - 아하하하, 우선 드릴 얘기는요. 제가 갓 결혼을 하고 나서요. 그, 저, 친구들을 만났어요. 친구 얘기가 아니 넌 왜
  갈 데가 없어서 첩으로 갔느냐구요. 그런 얘길 지가 들은 적이 있어요. 그래서 왜 그런 얘길 하는가 
  했더니 인제 자기들 생각에는 늘 노인으로 나오니까 아마 나이가 많은 분인 줄 알았는 모양이에요. 
  - 아... 기침을 콜록콜록 하고-.
  - 아하하하, 그래서 지가 그렇지 않다구요 그랬더니 자긴 노인인 줄 알고 첩으로 들어간 줄 알았다고 
  그런 얘기를 제가 몇 번 처음 결혼하고 들었어요. 
  - 아, 네... 거참 어려운 고비를 넘기셨군요. 
  (사람들의 웃음소리)
  - 네... 근데 이, 저, 집에서 선생님이 생활하시는 데 그런, 이, 저, 노인 티 나는 행동은 일체 
  없으시죠? 
  - 네, 역시 젊은 사람이니까.
  - 그런 건 없으시죠? 
  - 네. 
  (아이 목소리)
  - 뭘 달랩니다. 자꾸만. 
  - 아하하하, 쟤가 그렇게 땅콩을 좋아해요. 
  - 아, 난, 또 절 보고 가래는 줄 알고...
  (사람들의 웃음소리 및 아이 목소리)
  - 갖다 꺼내주세요. 
  - 아, 저, 가서 콜라라도 좀 가져오지. 
  - 오늘 이렇게 정말 구민 씨 댁에 와보니까는 6년이 지났다는... 오늘의 그, 신혼가정 부부 같은 
  기분이 아주 확 감돌고 있습니다. 아, 네? 
  - 아, 좋게 보시니까 그렇겠죠. 
  - 이 6년이면 벌써 그래도 그저 알 대로 다 알고 구질구질한 것이 조금씩 보여야 될 시기라고 생각하는데  
  신혼부부 같은 그런, 이 애는 마치 옆집 애가 놀러 온 것 같고-.
  (사람들의 웃음소리)
  - 모처럼의 일요일에 푹 좀 쉬실 걸...
  - 아이, 별말씀을 다 하십니다. 아니, 이렇게. 
  - 다음에 시간 있으면 또 인제 찾아뵙겠습니다. 안녕히 계세요. 
  - 바쁘신데 이렇게 와주셔서 감사합니다. 
  - 안녕히 계세요.
  - 안녕히 가십쇼. 
  - 감사합니다. 
  - 오늘은 이렇게 성우 구민 씨 댁을 찾아뵈었습니다. 그럼 여러분 내 주 이 시간에 다시 뵙겠습니다. 
  안녕히 계십쇼. 
  (음악)
  두꺼비의 일요방문을 마칩니다. 
  (음악) 
  (입력일 : 2011.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