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의 소리 DBS | 동아방송 18년史
 
 
스타앨범 / 나의 데뷰
유쾌한 응접실 / 정계야화
노변야화 / 주간 종합뉴스
초대석 : 김수환 추기경
>DBS초대석
김수환 추기경 편 - 제18회 독일 유학 얘기
김수환 추기경 편
제18회 독일 유학 얘기
1980.04.18 방송
김수환 추기경은 1980년 당시 신군부에 뺏기기 전 동아방송(DBS) 간판 프로그램의 하나였던 `DBS 초대석`에 4월1일부터 23일간 출연했다. 동아일보 논설주간이었던 권오기 전 부총리 겸 통일원 장관이 진행했던 이 대담 프로그램에서 김 추기경은 유학시절이야기, 종교·정치, 여러가지 사회문제에 관한 생각 등을 들려 주었다.
Q) 일본 상지대학 공부하셨고, 이후에도 신부의 몸으로 독일 유학을 가신건데, 서양을 처음 대했을 때 놀라는 것이 많았나요, 아니면 짐작대로였나요?

A) 유학은 1956년에 갔습니다. 서구와 동양의 차이는 처음에 많이 느끼죠. 그러나 살다보면 익숙해지죠. 도착해서 처음 베르사유 궁전에 갔을 때 받았던 충격이 있습니다. 이전에 프랑스 사람들이 한국에서 우리보다 굉장한 우월감을 느끼는 것을 보고 조금 불편하게 생각했었습니다. 파리에서 베르사유 궁전 보니 그 우월감을 이해하겠더군요. 우리보다 1세기 앞서서 도시문화라는 것을 갖고 있었구나. 그리고 규모가 굉장히 크다는 것에 충격 받았습니다.
그리고 베르사유 궁전을 관광객으로 갔는데 이 사람들은 궁전을 지을 때 루이 까토즈(14세)가 전제정치를 폈는데, 국민의 피땀으로 지었을 것 아닙니까. 어쨌든 이만한 유물을 남겨서 후대에게는 좋은 일을 했다고 생각했습니다. 우리 선조들은 역시 국민을 잘 대접하지는 안았을 것 아닙니까. 그런데 우리 선조는 무엇을 남겼는가? 외국 관광객이라도 끌어들일 유산을 남겼으면 좋았겠다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우리 스스로를 동방예의지국이라고 말하는데요. 그게 자부할 것은 아니구나 라고 느꼈습니다. 거기 가서 보니 남에 대한 존중과 예의가 우리보다 훨씬 앞서 있고 생활화 되어 있더군요. 서로 따뜻하지 못하고 서로 탓하는 것을 물질문명으로 돌리는데 과연 그럴 수 있을까 생각합니다.

Q) 유럽의 문명을 보면 수도와 목욕탕 등 도시에 사는 사람들의 유적이 있죠. 일종의 삶의 문화인데 우리는 위대한 사람이 죽은 흔적뿐입니다.

A)생명을 중심으로 한 문화와 죽음을 중심으로 한 문화가 있다고 볼 때 우리의 문화는 죽음의 문화이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조상숭배가 강조돼서 여기보다는 서구에서 한국이 제대로 보이더군요. 우리나라에 관계되는 책을 보니까 놀란 것은 조선시대에 조상 제사가 중심적인 사상이었잖아요. 효를 위해 조상제사가 중요했고, 적자가 중요했죠. 아들이 없으면 양자가 중요했겠죠. 양자법을 보니 다양한 계승 순서가 있더군요. 굉장히 모든 경우를 생각해서 세밀하게 돼 있는 게 양자법이더군요. 문제는 양자 될 사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죽은 사람을 위한 것이었죠.
영친왕이 돌아가셨을 때 하관식에 간 적이 있습니다. 우리 하관식 보면 참으로 정밀합니다. 하관식을 하는데 하관에만 한 시간 반이 걸립니다. 정확하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그 때도 그런 생각을 했습니다. 이런 예법을 산 사람을 위해 했더라면 우리나라가 달라지지 않았겠나, 죽은 이를 위해 화려하게 하는 것은 나라 전체가 진취적으로 발전시키는데 도움이 못 됐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가 도입한 유학, 주자학 탓일 수도 있고 우리가 수입한 자세에도 문제가 있겠죠.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문구가 네루 인도 수상이 말한 "혐오로써 사랑한다(인도의 발견)"입니다. 좋아하지 않는 마음 가득을 가지고 사랑한다는 역설인데요. 인도가 바뀌어야 한다고 하더군요. 그 사람도 서양을 많이 배운 힌두인인데, 우리에게도 서양을 배운다는 의미, 그런 시각이 있었으면 합니다.

(입력일 : 2009.02.18)
프로그램 리스트보기

(주)동아닷컴의 모든 콘텐츠를 커뮤니티, 카페, 블로그 등에서 무단사용하는 것은 저작권법에 저촉되며,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by donga.com. email : newsroom@donga.com